반응형

2025년 2월 9일, 대한민국 동남부 지역에서 규모 4.2의 지진이 발생하여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.
다행히 큰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,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안전 수칙에 대한 검색이 급증했었는데요,
오늘은 지진 발생 시 대처 방법과 안전 수칙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.


1. 실내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
✅ 탁자 아래로 대피
- 머리와 몸을 보호하기 위해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들어가세요.
- 탁자가 없다면, 방석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.
✅ 떨어질 물건 피하기
- 창문, 책장, 텔레비전, 액자, 전등 등 깨지거나 떨어질 수 있는 물건에서 멀리 떨어지세요.
✅ 출구 확인
- 비상구나 대피로를 미리 확인해 두고,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.
✅ 화재 예방
- 가스를 즉시 차단하고,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뽑습니다.
- 불이 난 경우에는 침착하게 소화기로 초기 진압을 시도합니다.
2. 실외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
✅ 넓은 공간으로 이동
- 건물, 전신주, 신호등, 간판 등 낙하물 위험이 없는 빈 공터로 이동합니다.
✅ 주변 상황 주시
- 창문 유리 파편이나 외벽 파손에 주의합니다.
-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전깃줄이 끊어질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.
3. 운전 중일 때
✅ 차를 도로 오른쪽에 정차
- 비상등을 켜고 천천히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웁니다.
- 차량을 도로에 방치하지 않고 열쇠를 꽂은 채로 대피합니다.
4. 지진 직후 행동 요령
✅ 라디오와 뉴스 확인
- 기상청이나 재난 문자로 여진 가능성 및 대피 명령을 확인합니다.
✅ 여진 대비
- 큰 지진 이후 여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깨진 유리나 가구로 인한 2차 사고에 주의합니다.
✅ 대피 준비
- 가족과의 연락 방법, 대피소 위치를 확인합니다.
- 비상 가방(식수, 비상식량, 구급약, 손전등 등)을 준비해 둡니다.

지진 대비 비상 키트 준비 목록
🔦 손전등 | 정전 시 사용 |
💊 응급약품 | 상비약, 붕대 등 |
🍫 비상식량 | 칼로리 높은 간편식 |
🚰 식수 | 최소 3일치 |
🔋 보조 배터리 | 휴대전화 충전 |
📻 라디오 | 재난 상황 확인 |
🏷️ 신분증 | 긴급 대피 시 필수 |

5. 지진 발생 시 대피 장소
✅ 1. 국민재난안전포털 확인하기
- 국민재난안전포털(NDMI)에서 지진 대피소를 확인
- 포털에 접속해서 ‘지진 옥외대피소’를 검색하면, 현재 위치 기준으로 가까운 대피소 찾기
✅ 2. 안전디딤돌 앱 활용하기
- 행정안전부에서 만든 공식 재난 대응 앱
- 앱을 설치하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지진 대피소, 병원, 소방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
- 오프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다운로드해 두면 좋음
✅ 3. 지자체 홈페이지나 동주민센터 문의
-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진을 포함한 자연재해 대피소를 지정
- 동사무소(주민센터)에 문의하거나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
✅ 4. 집 근처 학교, 공원, 운동장 등 넓고 안전한 야외 공간 확인
아파트나 고층 건물에 거주하는 경우, 계단을 이용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동선을 익혀 두는 것이 좋으며, 지진 발생 시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, 건물 밖으로 나갈 때는 낙하물에 주의해야 합니다. 추가로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과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해 두는 것도 좋습니다.
반응형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을 배경화면 / 아이폰 배경화면 / 아이폰 감성 배경화면 모음 (0) | 2022.08.31 |
---|---|
인생네컷 포즈(1인,2인,3인) (0) | 2022.07.25 |
서현 다이어트로 유명한 빨간통 다이어트 콜레올로지 구매 후기 (0) | 2022.01.26 |
지브리 배경화면 모음 (0) | 2021.09.28 |
케이 테스트 퍼스널 컬러 테스트로 내 mbti 찾아보기 (0) | 2021.02.04 |
댓글